728x90
반응형
- [ Git ]Github 팀원 추가2025-04-07 19:18:49. GitHub:저장소 설정 (Repository Settings) 접근:GitHub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프로젝트의 저장소 페이지로 들어갑니다.페이지 상단의 메뉴에서 "Settings" 탭을 클릭합니다.왼쪽 사이드바에서 "Collaborators" 를 클릭합니다.Collaborator 추가:"Manage access" 섹션에서 "Add people" 버튼을 클릭합니다.추가하려는 팀원의 GitHub 사용자 이름, 이메일 주소 또는 실제 이름을 입력하여 검색합니다.검색 결과에서 해당 팀원을 선택합니다."Add [사용자 이름] to this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합니다.권한 설정:팀원이 초대되면, 해당 팀원의 이름 옆에 권한 수준을 설정할 수 있는 드롭다운 메뉴가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 [ Git ]feature명명 규칙2025-04-07 19:10:21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규칙1. 기능 (Feature) 브랜치:규칙: feature/설명: 새로운 기능 개발을 위한 브랜치임을 나타냅니다. 은 해당 기능의 핵심 내용을 간결하게 설명하는 영어 단어를 사용합니다. 단어 사이는 하이픈(-)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예시:feature/user-authentication (사용자 인증 기능)feature/shopping-cart (쇼핑 카트 기능)feature/image-upload (이미지 업로드 기능)feature/new-api-endpoints (새로운 API 엔드포인트)2. 버그 수정 (Bugfix) 브랜치:규칙: bugfix/- 또는 bugfix/설명: 발견된 버그를 수정하기 위한 브랜치임을 나타냅니다. 는 버그 추적 시스템(예: Jira..
- [ Git ]명령어2025-04-07 18:28:55IntelliJ 내장 Git 기능 관련 (GUI)IntelliJ는 메뉴와 단축키를 통해 다양한 Git 기능을 제공합니다.프로젝트 버전 관리 활성화:VCS -> Enable Version Control Integration...Git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면 프로젝트에 Git이 활성화됩니다.커밋 (Commit):Ctrl + K (Windows/Linux) 또는 Cmd + K (macOS)변경 사항을 스테이징하고 커밋 메시지를 작성한 후 커밋할 수 있습니다.커밋 전에 변경 사항을 확인하고 특정 파일만 포함하거나 제외할 수 있습니다.푸시 (Push):Ctrl + Shift + K (Windows/Linux) 또는 Cmd + Shift + K (macOS)로컬 커밋을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합니다.어떤 브랜치로 푸..
- [ Git ]git 명령어 몇 가지2024-03-20 23:15:14git 명령어 현재 프로젝트 파일에 git init > git 사용 시작 git add (staging area / add 하는것을 스테이징 한다라고 한다.) git commit -m '메모' (repository) 여러개 git add test1.text test2.text git add . 전체 git status 어떤걸 스테이징 했는지, 어떤걸 까먹었는지 확인 가능 git log --all --oneline 깃 로그를 보고 싶다 git log --all --oneline --graph 그래프형식으로 보여줌 git diff 최근 커밋 vs 현재파일 차이 git difftool > 툴처럼 보여줌 git difftool '커밋아이디' > 특정커밋 확인가능 :q or :qa 종료 git branch '브랜..
- [ Git/Sourcetree ]스태시2022-01-28 11:21:31스태시란 소스트리의 클라우드? 기능이라고 보면된다. pull을 해야하는데 내가 가지고 있는 소스와 충돌이 날때, 아직은 내가 가지고 있는 소스를 push 하기 전, 적용을 나중에 하고 싶을때 사용하면된다! 아래의 위치에 스태시가 있다. 먼저 스테이지에 원하는 파일을 올리고 스태시를 누르자 그럼 변경점을 스태시하겠냐고 물어본다 확인을 누르자 좌측의 메뉴바에 보면 스태시에 내가 스태시한 파일이 올라가 있다. 커밋에서 보면 파일은 스태시에 올라가서 커밋하지 않은 파일이 없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파일자체가 스태시에 올라가있는것! 그 상태에서 pull을 해야해서 하거나 원하는 변경점을 적용한 후(없으면 안해도 된다. 테스트용) 좌측메뉴에 있는 스태시를 우클리하면 적용과 삭제가 나오는데 적용을 하면 현재 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