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Linux 6

폴더관리

✅현재 설정(언어 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root 계정으로 전환su -✅폴더 생성mkdir 폴더명✅폴더 삭제rmdir 폴더명✅폴더 및 파일 권한 설정숫자 권한의 구조리눅스 파일·디렉터리 권한은 3자리(또는 4자리) 8진수로 지정합니다.세 자리는 각각 소유자(owner), 그룹(group), 그 외(others)의 권한을 나타냅니다.읽기(Read) = 4쓰기(Write) = 2실행(Execute) = 1합산하여 0~7 사이 값 사용예) 7 = 4+2+1 (rwx), 5 = 4+1 (r-x), 0 = ---⚠️권한 설정 예시# 075 적용chmod 075 폴더 or 디렉토리 # owner: ---, group: rwx, others: r-x# 777 적용chmod 777 폴더 or 디렉토리 # ow..

OS/Linux 2025.07.15

WSL 내부 계정 확인·생성하기

WSL의 SSH 서버는 Windows 계정이 아니라 WSL(리눅스) 사용자 계정을 사용합니다.따라서 sftp test1@localhost 접속 시 “Permission denied”가 뜨면 해당 리눅스 계정이 없거나 비밀번호가 설정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1. 계정 존재 여부 확인WSL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을 입력해 보세요.test1은 아이디getent passwd test1아무 출력이 없으면 계정이 없음 2. 계정 생성 및 비밀번호 설정wsl 터미널에서 계정 추가sudo adduser test1이후 프롬프트에 따라 비밀번호와 정보를 입력 필요시 sudo 그룹에 추가sudo usermod -aG sudo test1

OS/Linux 2025.07.15

vim 에디터로 파일 수정하는 기본 흐름

1. 편집 모드 진입 (Insert Mode)Vim은 기본적으로 커맨드 모드로 시작합니다.키보드에서 i 키를 눌러 삽입(편집) 모드로 전환하세요.화면 하단에 -- INSERT --가 보이면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입니다.2. 내용 수정방향키(또는 h j k l)로 커서 이동 후 텍스트를 추가·삭제·변경합니다.원하는 설정을 입력하세요.3. 저장 및 종료커맨드 모드로 복귀저장 후 종료저장만 하고 나가기저장 없이 강제 종료:q! + Enter Nano 에디터로 더 쉽게 편집하기Vim 사용이 익숙하지 않다면 nano를 설치해 간단히 편집할 수 있습니다.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nano -ysudo nano /etc/파일명저장: Ctrl + O → Enter종료: Ctrl + X

OS/Linux 2025.07.15